티스토리 뷰
목차
자녀를 홀로 양육하는 한부모가정은 경제적·정서적으로 많은 부담을 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.
특히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일수록 양육비 부담은 더 크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.
충청남도는 이러한 가정을 돕기 위해 ‘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제도’를 통해 매월 정기적인 현금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이 제도는 기초생활이 어려운 한부모 가정에 자녀 1인당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하여 안정적인 양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, 자녀의 복지와 학습, 정서 안정을 동시에 고려한 정책입니다.
이 글에서는 충청남도에서 시행 중인 ‘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제도’에 대한 신청 조건, 지급 기준, 지원 금액, 신청 방법, 연령 조건, 자주 묻는 질문과 유의사항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.
또한 복지 제도를 신청할 수 있는 관련 사이트와 기관도 함께 소개해 드립니다.
💡 어떤 제도인가요? 충청남도 아동양육비 제도 개요
충청남도에서는 관내 저소득 한부모가정을 대상으로 매월 정기적인 양육비를 현금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
이 정책은 여성가족부의 ‘한부모가족지원법’을 바탕으로 각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제도로, 충청남도는 자체 예산을 추가 확보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
구 분 | 내 용 |
제도명 | 충남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제도 |
시행 기관 | 충청남도청 여성가족정책관실, 시·군 여성가족과 |
지원 대상 | 만 18세 미만 자녀를 양육 중인 중위소득 60% 이하 한부모가정 |
지원 금액 |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/ 청소년 한부모는 월 35만 원 |
지급 방식 | 매월 계좌 입금 (정기지급) |
신청 주체 | 보호자 (부 또는 모) |
신청 기간 | 연중 상시 신청 가능 |
※ 자녀가 2인 이상인 경우, 인원수에 따라 지원 금액은 비례하여 늘어납니다.
※ 단, 동일 자녀에 대해 두 개 지자체에서 중복 수혜는 불가능합니다.
👪 어떤 가정이 지원받을 수 있나요? 세부 자격 조건
충남의 아동양육비 지원은 두 가지 유형의 한부모가정에게 제공됩니다.
기본적으로 중위소득 60% 이하 가구여야 하며, 청소년 한부모 가정은 중위소득 65% 이하 기준이 적용됩니다.
아래 표는 유형별로 정리한 자격 조건입니다.
유 형 | 주 요 요 건 |
일반 한부모가정 | 만 18세 미만 자녀 양육, 중위소득 60% 이하, 실질적 양육 책임 존재 |
청소년 한부모가정 | 부모 연령이 만 24세 이하이며 자녀 양육 중, 중위소득 65% 이하 |
조손가정 포함 여부 | 조부모가 손주를 키우는 경우에도 법적 한부모로 인정되면 동일하게 적용 |
※ 소득 기준은 소득인정액으로 판단하며, 근로·사업·임대·재산 소득 등이 포함됩니다.
📊 2025년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 월 소득 기준표
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며, 이에 따라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의 기준도 달라집니다.
2025년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 월 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
가구원 수 | 기준 중위소득(100%) | 60% 기준 월소득 | 65% 기준 (청소년한부모) |
2인 가구 | 3,717,134원 | 2,230,280원 | 2,416,137원 |
3인 가구 | 4,776,742원 | 2,866,045원 | 3,104,882원 |
4인 가구 | 5,830,965원 | 3,498,579원 | 3,790,127원 |
※ 부양가족 수, 장애 여부, 의료비 지출 등에 따라 일부 추가 공제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.
💰 지원 금액과 지급 방법
충남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는 월 단위로 지급되며, 기본 한부모가정은 자녀 1인당 월 20만 원, 청소년 한부모가정은 월 35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지원 시작 시점: 신청 후 자격 심사 완료된 달부터 지급
- 지급일: 매월 20일 전후로 지급
- 지급 형태: 현금 지급 (신청자 명의 계좌로 자동 이체)
※ 학업 중인 청소년 한부모에게는 학습 장려금 또는 생계보조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지자체도 있으니
거주 지역 여성가족과 또는 복지담당 공무원에게 개별 문의하시길 추천드립니다.
📄 신청 방법 및 준비 서류
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는 온라인 신청이 아닌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이 원칙입니다.
다만 일부 지자체는 사전 전화 상담 및 서류 제출 예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
신청 방법
-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
- 신청서 작성
- 아래 서류 제출 후 접수 완료
필요 서류
- 가족관계증명서
- 신분증 및 통장 사본
- 소득재산 증빙서류 (소득금액증명원,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등)
- 임대차계약서 또는 부동산 등기사항증명서
- (청소년 한부모의 경우) 학생증 또는 재학증명서
※ 서류 누락 시 자동 반려되므로, 미리 복지 담당자와 체크리스트를 확인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.
❗ 유의사항 및 자주 묻는 질문
- Q. 아동수당과 중복 수령 가능한가요?
→ 네, 가능합니다. 아동수당,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등과 병행 수령이 허용됩니다.
- Q. 자녀가 중간에 18세를 초과하면요?
→ 만 18세가 되는 연도의 말일까지 수급 가능하며, 이후 자동 중단됩니다.
- Q. 월 소득이 기준을 살짝 넘는데 신청해도 될까요?
→ 예외적 기준 적용이 불가능하므로, 기준 초과 시 신청해도 탈락합니다.
- Q. 이혼 후 양육권이 없는데 신청 가능한가요?
→ 아니요. 실질적으로 자녀를 양육 중인 보호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